icon
커넥트밸류 알림
인사평가자 교육

리더십

성과관리

인사평가자 교육

성과관리 | 김성환 강사

김성환

강사

강의소개

커리큘럼

강사정보

강의문의

강의소개

강의개요

성과관리의 기술을 넘어, 평가자의 내면과 리더십까지 전환하는 깊이 있는 교육입니다.

평가 상황에서 나타나는 심리 패턴과 회피, 왜곡 등 문제행동을 메타인지적으로 진단하고,

평가의 본질·시스템·평가자 관점에서 총체적 역량 향상을 이끕니다.

강의대상

인사평가자

강의방식

워크시트를 기반으로 강의 + 진단 + 사례연구 + 동영상으로 구성

커리큘럼

· 총 7개 모듈 · 12시간

모듈01

강의,워크시트

click icon

1시간

구성원 평가결과 수용도가 변하지 않는 이유

매년 받는 교육에도 구성원 평가결과 수용도가 변하지 않는 이유 ① 직책자의 평가결과 전달과정에서 오류 ② 직책자의 성과평가에 대한 불편한 지점(Uncomportable Zone)
인사평가 같은 실수의 반복 = 불편한 지점 = 리더십의 한계
[Worksheet] 평가개선 워크시트 제공과 활용
메타인지(Metacognition)와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는 법
모듈02

강의 영상 실습 사례연구

click icon

1.5시간

구성원의 문제에서 나의 문제로 돌아오기

[사례연구] 평가과정과 면담에 있어 나의 뜻과는 다른 반대행동
반대행동은 왜 하는 것일까?
[개인실습] 개선목표와 반대행동(딴짓) 적기 *변화변역 모델 활용_로버트캐건, Harvard University
반대행동 속 숨겨진 신념 : 내가 두려워 하는 것과 나의 한계
[동영상] ‘좋좋소’ 영상에서 드러난 인사평가 이슈 찾아내기
모듈03

강의 워크시트 회고

click icon

1.5시간

평가 개선목표의 진정성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내가 설정한 인사평가 개선목표, 과연 진심일까?
[회고] 나의 리더십을 강하게 비판한 팀원 돌아보기
바꿀 수 없는 나의 마음의 골격이 무엇일까? *동기와 성격_매슬로우
[Worksheet] 개선목표 설정하기 : 가장 중요한 과정의 목표
나의 불편한 지점 파악 -> 평가 및 면담 개선 -> 리더십 개선
모듈04

강의 진단 워크시트

click icon

1시간

평가자 수준진단과 개인문제 파악

[진단] 평가자 수준 진단 (성과관리 이해 / 목표수립 / 육성 / 평가 / 면담 등)
3단계 수준 : ①Ranking Decider ②Performance Mirror ③Performance Leader
인사평가를 하는 이유 : Main 성과향상 Sub 차등보상
성과평가에 있어 상호간 deal이 되지 않는 방법
[Worksheet] 내게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 – 성숙도에 비춰봤을 때 어떠한 반대행동을 하는가 – 반대행동 속에 숨겨진 두려움은 무엇인가?

강의교안

미리보기

인사평가자 교육 | 김성환 강의 교안 1인사평가자 교육 | 김성환 강의 교안 2인사평가자 교육 | 김성환 강의 교안 3인사평가자 교육 | 김성환 강의 교안 4인사평가자 교육 | 김성환 강의 교안 5인사평가자 교육 | 김성환 강의 교안 6인사평가자 교육 | 김성환 강의 교안 7인사평가자 교육 | 김성환 강의 교안 8인사평가자 교육 | 김성환 강의 교안 9인사평가자 교육 | 김성환 강의 교안 10

강사정보

김성환 강사 팬페이지 바로가기 | 커넥트밸류

김성환  강사

목표 뚜렷한 컨설턴트형

생각보다 깊게, 행동보다 진심으로

컨설턴트 출신 강사의 깊이 있는 통찰과 마음챙김으로 교육생 내면을 아우르는 성장과 변화관리 교육

강사님의 다른 강의도 살펴보세요

전체보기

디자인싱킹으로 기획 습관 바꾸기

  1. 기획력 향상을 위해서는 기존의 일하는 습관을 탈피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기존의 업무 방법과 정 반대선상에 있는 디자인싱킹을 활용하여 자신의 습관을 되돌아 보고 새로운 일하는 방법을 체득합니다.
  2. 기획과 업무과정에서 지식을 통해 알고는 있지만 개선 되지 않고 흔히 발생하는 실수를 디자인싱킹 관점에서 점검하고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을 연구합니다.
  3. 새롭게 기획하고 일하는 방식을 디자인싱킹 관점에서 탐색하고 더 깊이 사고하고 몰입하는 방식과 기존의 비즈니스싱킹 방법론과의 조화로운 통합을 시도합니다.
image

김성환  강사

|

기획력

감정지능 x 마음챙김 기반의 팀 단위 조직문화 활성화

🔹 M1. 오프닝 & 자기 고정관념 깨기

"우린 서로를 모르고 시작했다"

인식 차이에서 비롯된 갈등, 오해, 단절의 시작점을 짚고, "이해"의 출발점에 서는 시간


🔹 M2. 자기 인식 (Self-Awareness)

"나도 몰랐던 나를 마주하다"

내 성향과 반응의 뿌리를 이해하며, 타고난 마음의 구조를 받아들이고 해석하기 시작한다


🔹 M3. 팀 구성원 인식

"타인을 해석할 렌즈가 생긴다"

팀원들의 반응 이면에 있는 성향과 이유를 읽고, 구성원의 행동을 새롭게 이해하게 된다


🔹 M4. 우리 팀 일하는 방식 들여다보기

"우리 팀은 어떤 언어로 일하고 있을까?"

팀만의 작동 원리를 해부하며, ‘보이지 않던 습관’과 협업의 틀을 명확하게 짚는다


🔹 M5. 감정지능이란 무엇인가?

"일 잘하는 사람들의 진짜 차이는 Emotional Intelligence였다"

성과, 소통, 리더십의 결정적 차이를 만드는 감정지능의 힘을 깨닫는 시간


🔹 M6. 감정 인식하기 (Metacognition)

"감정을 보는 눈이 생긴다"

감정은 통제 대상이 아니라 해석의 대상. ‘내 감정’이라는 신호를 읽고 반응의 방식을 바꾼다


🔹 M7. Mindfulness 실습

"생각보다 감각이 먼저다"

감정은 생각으로 제어할 수 없다. 감각과 호흡을 통해 감정의 흐름을 직접 경험하고 조절한다


🔹 M8. Wrap-up

"팀과 함께 감정을 설계하다"

나와 팀의 감정 흐름을 설계하며, 개인과 조직의 변화를 위한 첫 규칙을 만든다

image

김성환  강사

|

조직문화

강의 문의0

최신순

강의 문의가 없습니다.

0
share icon공유
share icon
평일 09:00 ~ 18:00 (주말, 공휴일 휴무)
logologologologologologologologologologologo
0